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퍼셉트론
- OR게이트
- 씨본
- AND게이트
- 데이터분석
- 판다스
- linux
- seaborn
- Deeplearning
- 로지스틱회귀
- 머신러닝
- XOR게이트
- 파이썬
- 크롤링
- python
- DataFrame
- 우분투
- 비지도학습
- 데이터프레임
- 딥러닝
- 리눅스
- 데이터크롤링
- ubuntu
- pandas
- numpy
- Perceptron
- NAND게이트
- 달의조각
- 데이터시각화
- 선형회귀
- Today
- Total
Charming ['ㅡ'] Ham !
AI, 딥러닝을 위한 운영체제 Ubuntu (Linux) 와 Terminal 사용 명령어 본문
우리는 AI, 딥러닝을 위한 운영체제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Ubuntu 18.04 버전을 사용하려 한다.
우선 리눅스 기반의 운영체제의 장점이 무엇일까?
-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내 컴퓨터에 가장 최적화해 사용 가능.
특히 우분투는 개인용, 데스크탑 환경에 최적화 된 운영체제이다.
- 우분투라는 말은 남아프리카 어떤 부족의 언어로 '네가 있으니 내가 있다' 라는 의미를 가진다.
이는 '다른 사람을 위한 인간애' 로 번역되며 서로 배려하고 함께 공존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.
상기 의미에 맞게 자유롭게 소스들을 수정, 공유, 재배포하며 사람들과 함께, 거기다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
우분투라는 운영체제의 장점이다.
하지만 이 우분투는 다소 불편할 수 있다. 주로 많이들 사용되는 운영체제인 윈도우, Mac OS 와는 달리
오픈소스 기반이기 때문에 컴퓨터 전문가만이 사용할 것 같던 Terminal 을 통해 기본적인 조작 및 프로그램 설치가 가능하다.
물론 폴더를 만들고 옮기는 것은 화면을 통해 마우스로도 가능하다!
Terminal 과 친해져 보자! (Terminal 의 기본적인 명령어들)
가장 기본적인 명령어로 사용자의 이름을 알아보자.
여기서 사용자의 이름이란 컴퓨터를 사고 운영체제를 시작하게되면 기본적으로 설정하는 사용자 이름을 말한다.
whoami
$ whoami
정말 건방지다면 건방지게 '내가 누구냐' 다.
위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설정된 사용자의 이름을 알 수 있다.
다음으로 현재 위치를 알아보자.
$ pwd
이 pwd는 Pirnt Working Place 의 약자로 내가 작업 중인 장소가 어디야? 하고 묻는 것이다.
해당 명령어를 입력하면
/home/username
같은 경로에 대한 결과를 알 수 있다
다음으로 현재 디렉토리(위치)에 속해있는 모든 파일 목록을 볼 수 있는 명령어를 알아보자.
$ls
list의 약자로 해당 명령어를 입력하면 현재 위치에 속해 있는 모든 파일들을 목록으로 볼 수 있다.
다음으로 원하는 곳으로 이동하는 명령어를 알아보자
$ cd Downloads
$ pwd
먼저 cd Downloads 를 통해서 다운로드 폴더로 이동할 수 있다. pwd 명령어를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.
상위 디렉토리로 갈 수 있는 명령어는
$ cd ..
으로 cd .. 을 통해 상위 디텍토리로 이동이 가능하며, 핸드폰의 홈 화면과 같이 최상위 디렉토리로 이동하는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.
$ cd ~
새 폴더를 만드는 명령어는
$ mkdir new_folder
$ ls
위과 같이 mkdir 명령어로 가능하다. ls 로 문제없이 생성되었는지 확인 해 볼 수 있다.
폴더의 이동은
$ mv new_folder home
$ ls
로 mv 명령어를 쓴다. move의 약자이며, mv 이동하고자 하는 폴더명 이동할 위치를 입력해주면 된다.
역시 ls 명령어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며, 최상위 디렉토리로 이동고자 할 경우 ' ~ ' 를 입력해 주면 된다.
폴더를 복사하는 명령어는
$ cp -r new_folder ..
$ ls
cp를 사용한다. copy의 약자로 복사할 때 사용하며, 복사하고자하는 폴더 명 복사할 위치로 사용한다.
알반적으로 폴더 복사시에는 하위 파일, 폴더와 함께 복사하기에
-r 을 붙여준다.
마지막으로 폴더를 삭제하는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자.
$ rm -r new_folder
$ls
rm은 remove의 약자로 삭제하겠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-r 은 하위 디텍토리까지 모두 포함한다는 뜻이다.
즉, new_folder 하위 모든 디렉토리까지 삭제하겠다는 의미이다.
보통 한 폴더를 삭제할때 하위 폴더, 파일까지 한꺼번에 삭제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주로 -r 를 붙여 사용한다.
'지식 정보 공유 > et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가상환경 설정 및 주피터노트북 설치 (0) | 2021.01.08 |
---|---|
Git / Github 사용법 (0) | 2021.01.07 |
Ubuntu 에서 Anaconda 환경구성하기 (Tensorflow-gpu / Tensorflow 설치하기) (0) | 2021.01.03 |
우분투 Slack 설치하기 (0) | 2021.01.02 |
우분투 Ubuntu 한글 사용하기 (0) | 2021.01.01 |